맨위로가기

유스투스 폰 리비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스투스 폰 리비히는 19세기 독일의 화학자로, 유기 화합물 분석, 무기 영양설, 최소율의 법칙, 실험 중심 교육, 다양한 화학 기구 개발 등 화학, 농업, 생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탄소와 수소의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 식물 성장에 흙 속의 무기물이 중요함을 밝혀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리비히 냉각기, 은 거울 제조법 개발 등 실험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실험 중심의 화학 교육을 통해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하지만 질소 비료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등의 비판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름슈타트 출신 - 아우구스트 케쿨레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독일의 화학자로서 탄소의 사중 원자가와 자가 연결 능력을 기반으로 유기화학의 구조 이론을 체계화하고 벤젠의 고리 모양 구조를 제안하여 방향족 화합물 연구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은 화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하였다.
  • 다름슈타트 출신 -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는 러시아 알렉산드르 2세와 결혼하여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황후가 되었으며, 러시아 여성 교육 발전과 적십자사 설립에 기여했지만 남편의 외도와 병마 속에서 생을 마감했다.
  • 1803년 출생 - 프로스페르 메리메
    프로스페르 메리메는 19세기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 역사가, 고고학자, 프랑스 역사 유적 감독관으로, 단편소설 《카르멘》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역사 소설과 단편 소설로 문학적 명성을 얻었고 프랑스 건축 유산 보존에 기여했으며 러시아 문학 번역에도 기여한, 낭만주의와 사실주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스타일의 작가이다.
  • 1803년 출생 - 최한기
    최한기는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기철학자로, 과거 급제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경험론적 사상을 바탕으로 천문학, 지리학, 수학, 사회 개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보적인 사상을 제시하며 실학의 결실 및 개화 사상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 1873년 사망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1873년 사망 - 제임스 새비지 (은행가)
    제임스 새비지는 미국의 은행가, 변호사, 작가, 역사가로,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로비던트 저축 은행 설립에 기여했으며, 매사추세츠 역사 협회에서 활동하며 뉴잉글랜드 초기 정착민의 계보 사전을 출판하고 1873년 보스턴에서 사망했다.
유스투스 폰 리비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스투스 폰 리비히
리비히 (1866년경)
출생일1803년 5월 12일
출생지헤센 대공국 다름슈타트
사망일1873년 4월 20일
사망지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뮌헨
학문 분야화학
소속 기관기센 대학교
뮌헨 대학교
사사카를 빌헬름 고틀로프 카스트너(Karl Wilhelm Gottlob Kastner)
연구 분야 및 업적
주요 연구 분야농업 화학
분석 화학
생화학
유기 화학
주요 업적벤질산 재배열 반응(Benzilic acid rearrangement)
벤조인 축합 반응(Benzoin condensation)
짖는 개 반응(Barking dog reaction)
클로랄(Chloral)
연소 분석(Combustion analysis)
발효 이론(Fermentation theory)
분유(Infant formula)
아이소사이안산(Isocyanic acid)
키누렌산(Kynurenic acid)
리비히 냉각기(Liebig condenser)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Liebig's law of the minimum)
리비히의 산 이론(Liebig's theory of acids)
리비히-파스퇴르 논쟁(Liebig–Pasteur dispute)
칼리아파라트(Kaliapparat)
마마이트(Marmite)
고기 추출물(Meat extract)
멜라민(Melamine)
유기촉매(Organocatalysis)
식물 영양(Plant nutrition)
사르코신(Sarcosine)
은도금(Silvering)
타이로신(Tyrosi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수상
주요 수상앨버트 메달 (왕립 예술 협회)(Albert Medal) (1869년)
푸르 르 메리트 훈장(Pour le Mérite) (1851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Légion d'honneur) (1850년)
코플리 메달(Copley Medal) (1840년)
제자
주요 제자카를 슈미트 (화학자)(Carl Schmidt)
니콜라이 지닌(Nikolay Zinin)
앙리 빅토르 레뇨(Henri Victor Regnault)
카를 폰 포이트(Carl von Voit)
헤르만 폰 페링(Hermann von Fehling)
헤르만 프란츠 모리츠 코프(Hermann Franz Moritz Kopp)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August Wilhelm von Hofmann)
라이언 플레이페어(Lyon Playfair)
에밀 에를렌마이어(Emil Erlenmeyer)
하인리히 리트하우젠(Heinrich Ritthausen)
모리츠 트라우베(Moritz Traube)
아돌프 스트레커(Adolph Strecker)
빌헬름 헤네베르크(Wilhelm Henneberg)
아우구스트 케쿨레(August Kekulé)
벤자민 콜린스 브로디(Sir Benjamin Collins Brodie, 2nd Baronet)
아우구스투스 횔커(Augustus Voelcker)
율리우스 오이겐 슐로스베르거(Julius Eugen Schlossberger)
카를 포크트(Carl Vogt)
막스 폰 페텐코퍼(Max Joseph von Pettenkofer)

2. 생애

유스투스 폰 리비히는 어릴 때부터 화학에 매료되어 아버지의 공장에서 가져온 화학 물질로 화약을 만들어 학교에서 폭발시키는 바람에 초등학교에서 퇴학당했다. 1820년 본 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이듬해 카스터너 교수를 따라 에를랑겐 대학으로 옮겼다가 퇴학당했다. 이후 카스트너의 추천으로 파리 소르본 대학에서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의 지도를 받았다. 1824년 귀국하여 21세의 나이로 기센 대학 조교수가 되었고,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화학 분야 학과를 만들고 실험 중심의 화학교육을 실천하여 최고의 화학 교육자로 불리게 된다.

1840년 《유기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 대한 응용》을 출간하여 무기양분설, 광물설을 발표하였다.[71] 이는 식물이 썩어 흙과 섞인 부식토가 식물 성장에 필수적이라는 종전의 학설을 부정하고 질소, 인, 칼륨 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밝혔다. 식물은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뿌리로부터 질소 화합물과 미네랄을 얻어 성장하며, 토양 비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기성분과 질소를 토양에 환원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필수 성분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다른 성분이 충분해도 식물이 제대로 자랄 수 없다는 '최소양분율'을 주장하였다.[73][74]

빌헬름 트라우초르트가 그린 유스투스 폰 리비히, 1846년경


1826년 5월, 리비히는 국가 공무원의 딸인 헨리에트 "예트헨" 몰덴하우어(1807–1881)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 게오르크(1827–1903), 아그네스(1828–1862), 헤르만(1831–1894), 요한나(1836–1925), 마리(1845–1920)이다. 리비히는 루터교, 예트헨은 가톨릭 신자였지만, 아들들은 루터교, 딸들은 가톨릭 신앙으로 키우면서 종교적 차이를 원만하게 해결했다.[7]

1852년,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의 요청으로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로 옮겨 왕실 과학 고문이 되었다. 뮌헨 대학교를 과학 연구 및 개발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던 막시밀리안 2세는 리비히에게 편안한 집, 작은 실험실,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강당을 제공했다. 리비히는 대학교와 일반 대중에게 격주로 강의했고,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 회장 및 바이에른 왕립 과학 아카데미 종신 회장으로 임명되었다.[7]

리비히는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이었다.


리비히는 1873년 뮌헨에서 사망하여 알터 쥐트프리드호프에 묻혔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젊은 리비히: 1821년 그림을 바탕으로 한 1843년 석판화 (리비히하우스)


유스투스 폰 리비히는 1803년 5월 초 다름슈타트에서 요한 게오르크 리비히와 마리아 카롤린 뫼저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7] 그의 아버지는 직접 작업장에서 개발한 페인트, 바니시 및 안료를 배합하고 판매하는 건물자재상이자 하드웨어 상인이었다.[7] 어린 시절부터 유스투스는 화학에 매료되었다.

8세에 김나지움에 입학했지만, 공부보다는 아버지의 일과 실험을 돕는 것을 더 좋아했다. 리비히가 태어난 다름슈타트1806년에 성립된 헤센 대공국의 수도이자 궁정 소재지였다. 궁정 도서관에는 성인용 화학 관련 서적이 갖춰져 있었으며, 학교보다 도서관을 더 좋아했다. 학교 과제보다 화학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성적도 좋지 않았다. 그는 뇌산 수은을 김나지움에 가져갔는데, 그것이 폭발을 일으켜 퇴학당했다. 1817년의 일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헤펜하임의 약사 밑에서 도제로 살게 되었다. 그는 거처로 주어진 다락방에서 뇌산염 실험을 계속했다. 그러나 또 폭발 사고를 일으켜 헤펜하임에서 쫓겨나 집으로 돌아왔다.

이후, 1820년에 헤센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신설된 본 대학교(라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 입학하여 Karl Wilhelm Gottlob Kastner|카를 빌헬름 고트로프 카스트너de에게서 배웠다. 그는 뇌산염 연구를 계속하며 무기 화합물의 분석법에 대해 배우고 싶어 했지만, 카스트너가 이 주제에 밝지 못했기에 리비히는 실망했고, 이윽고 학생 운동에 몸을 던지게 되었다. 그리고 마을 주민과 충돌했을 때 폭력을 행사하여 체포되었다.

헤센 대공 출신인 루트비히 1세로부터 유학 장학금을 받아 1822년 파리 대학교에 입학했다. 리비히는 소르본 학교(파리 대학교 이학부)에 들어갔다. 당시에는 국가별로 화학 연구 방법과 이론이 달랐다. 리비히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소개로 게이뤼삭의 연구실에서 연구를 할 수 있었고, 1824년에 뇌산염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훔볼트의 추천서를 가지고 독일로 귀국했다.

2. 2. 기센 대학교 교수 시절

1824년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추천으로 불과 21세의 나이에 기센 대학교 조교수로 임명되었고,[7] 이듬해인 1825년에는 정교수로 승진했다.[7] 이는 훔볼트의 추천과 리비히의 뛰어난 연구 능력이 인정받은 결과였다.

빌헬름 트라우초르트의 그림, 기센의 리비히 연구실


리비히 연구실, 유명 화학자들, 리비히 육류 추출물 회사(Liebig's Extract of Meat Company) 트레이딩 카드, 1929


리비히는 기센 대학교에 세계 최초의 학생 실험실을 설립하여 실험 중심의 화학 교육을 실시했다.[10] 이곳에서 학생들은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화학 이론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직접 연구 논문을 작성해야 했다. 리비히의 실험실은 전 세계에서 온 학생들로 붐볐으며,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 프리드리히 케쿨레, 샤를 부르츠 등 저명한 유기 화학자들이 이곳에서 배출되었다.[80] 이들은 훗날 독일 유기 화학 발전의 주역이 되었다.

1826년, 리비히는 프리드리히 뵐러와 함께 시안산염과 뇌산염이 같은 조성을 가지면서도 다른 성질을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7][17][19] 이는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이성질체라는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1831년, 리비히는 증류 및 환류에 사용되는 리비히 냉각기를 발표했다.[7] 이 냉각기는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같은 해에 외젠 수베이렌, 새뮤얼 거스리와 동시에 클로로포름을 발견했다.

1832년, 뵐러와 함께 쓴 아몬드 기름(벤즈알데히드) 연구를 통해 반응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 원자단인 ''(라디칼)를 발견했다.[18] 이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으며, 훗날 원자가 이론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19]

2. 3. 응용 화학 연구

1837년 프리드리히 뵐러와 함께 요산을 연구하면서 최초의 배당체인 아미그달린을 공동 발견했다. 1838년 뵐러와 함께 저술한 논문 '유기산의 구조에 대하여'에서 미지의 유기 화합물 구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80]

베르셀리우스가 개발한 연소법에 의한 유기 화합물원소 분석을 개량했다. 리비히의 탄소, 수소 정량법에 장바티스트 뒤마의 질소 정량법을 조합하고, 프리츠 프레글이 개량한 분석법은 현재도 미량 분석에 사용된다.

1840년 '유기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으로의 응용'(Die organische Chemie in ihrer Anwendung auf der Agrikultur und Physiologie)을 발표하여, 식물 생장에 대한 부엽토의 중요성을 부정하고 무기 영양설(광물 영양설)을 주장했다.[71] 같은 해, 런던 왕립 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65]

1841년 식물이 흙 속의 칼륨이나 인을 생장에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흙 속에서 가장 적은 필수 원소의 양에 의해 식물의 생장 속도가 결정된다는 리비히의 최소율을 제창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농업을 흙 속 영양을 약탈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화학 비료 개발에 착수했다. 동물 체내 대사 연구를 통해 체온과 근육 에너지원이 음식(지방, 탄수화물 등)의 체내 산화 에너지에서 유래한다고 언급했다.

1842년 '유기 화학의 생리학 및 병리학으로의 응용'(Die Tierchemie oder die organische Chemie in ihrer Anwendung auf Physiologie und Pathologie)을 발표했다. 1844년 화학 계몽서 '화학 서신'(Chemische Briefe) 초판을 출판했다.

1845년 남작 작위를 받아 폰 리비히로 불리게 되었다.

2. 4. 뮌헨 대학교 시절

1852년, 막시밀리안 2세의 초빙을 받아 뮌헨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이는 과로로 인한 불면증 치료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 뮌헨 대학교에서는 실험을 중단하고 강의와 저술 활동에 집중했다. 1859년에는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 원장에 취임했다.[7]

이 시기에는 식품 연구에 집중하여 1865년에는 육류 엑기스 추출 회사를 설립했고, 1867년에는 육아용 분유를 개발했다. 육류 엑기스는 영양학적으로 큰 의미는 없었지만, 기호품으로서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식품 가공 산업의 선구자가 되었다.

2. 5. 리비히의 성격과 논쟁

리비히는 카리스마 넘치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국내외에 많은 친구를 두었으며, 제자들과도 친하게 지냈다. 그러나 정열적이고 성질이 급한 면도 있었다. 그는 타협을 모르는 완고한 성격으로, 자신이 "틀렸다"고 생각하는 이론에 대해서는 격렬하게 공격했으며, 이는 종종 개인에게까지 미쳤다. 그 때문에 아군도 많았지만 적도 많았다.[80]

베르셀리우스와는 산과 촉매 이론 및 『유기 화학의 생리학 및 병리학으로의 응용』 내용에 관해 논쟁을 벌이다가 결국 10년 동안 교류해 온 두 사람은 절교했다. 루이 파스퇴르와는 발효가 단순한 화학 반응인지, 아니면 생물의 작용인지에 대해 오랜 논쟁을 벌였으나 패배했다.

한편, 리비히가 장년기에 비료 연구에 뛰어든 것은 이 시기에 유럽을 덮친 기근을 해결하려 했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보불 전쟁 종결 무렵, 그는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에서 "지금의 독일 학자는 프랑스에서 배웠다. 다음 프랑스 학자는 독일에서 배울 것이다. 양 국민이 항상 이처럼 손을 잡아야 한다"고 연설하는 등, 진보적인 사상을 가진 인물이기도 했다.

3. 주요 업적

리비히의 칼리구

  • 유기 화합물 분석법 개발: 1830년대에 리비히는 유기 화합물의 탄소와 수소 분석법을 발전시켰다. 칼리라파라트라는 5개의 유리 구체 배열을 이용하여 연소 후 시료의 탄소 산화 생성물(이산화 탄소)을 포집하고, 흡습성 염화칼슘 튜브를 통해 수증기를 흡수하여 시료의 수소 무게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유기화합물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12]
  • 무기 영양설(광물 영양설) 주장: 1840년 《유기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 대한 응용》을 출간하여 식물이 흙 속의 무기물을 흡수하여 성장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71] 식물이 공기로부터 얻는 이산화탄소와 뿌리로부터 얻는 질소 화합물 및 미네랄을 가지고 성장한다고 주장하여 화학 비료 발전에 기여했다.
  • 최소율 제창: 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 중 가장 부족한 것이 성장을 제한한다는 법칙을 제시하여,[73][74] 현대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 실험 중심의 화학 교육: 기센 대학교에 세계 최초의 학생 실험실을 설립하여 수많은 유능한 화학자를 배출하고, 독일 화학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 리비히 냉각기 개발: 증류 및 환류에 사용되는 효율적인 냉각기를 개발하여 화학 실험 발전에 기여했다.[7]
  • 은거울 반응 개발: 유리 용기 안에서 은 이온(Ag+)을 환원시켜 은거울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여 거울 제조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4. 평가 및 비판

리비히는 19세기 최고의 화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의 연구와 상업 활동에는 몇 가지 비판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리비히는 초기 연구에서 질소 비료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인산, 칼륨 비료에만 집중하여 화학 비료 개발에 실패했다.[7] 농부의 밭에서 실험했을 때, 리비히의 비료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23] 이는 리비히의 이론과 실제 농업 현장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후 리비히는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고 질소 비료의 중요성을 받아들였다.[7]

리비히는 자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리비히 고기 추출물 회사'를 설립하여 상업적 이익을 추구했으나,[28][29][32][30] 이 회사의 고기 추출물은 초기 홍보와 달리 영양학적 가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리비히가 개발한 최초의 영아용 조제분유는[35] 실험 과정에서 여러 영아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윤리적 논란을 일으켰다.[36] 프랑스 국립 의학 아카데미에서는 리비히의 조제분유에 대해 "가짜 우유"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4. 1. 긍정적 평가

리비히는 19세기 최고의 화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유기화학, 농화학, 생화학 분야에 큰 공헌을 했다. 그의 연구는 화학뿐만 아니라 농업, 의학, 식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7]

리비히는 실험 중심의 화학 교육을 통해 수많은 유능한 화학자를 배출하여 19세기 독일 화학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의 교육 방식은 전 세계로 퍼져나가 화학 교육의 혁신을 가져왔다.[80] 특히 기센 대학에서 세계 최초로 학생 실험실을 설립하여 학생들이 직접 실험에 참여하고 연구 논문을 작성하도록 지도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독일이 유기 화학의 중심지가 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7]

또한, 리비히는 기근 문제 해결을 위해 화학 비료 개발에 힘쓴 점은 과학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8] 리비히는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질소(N), (P), 칼륨(K) 등의 무기 양분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학 비료를 개발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4. 2. 비판적 평가

리비히는 초기 연구에서 질소 비료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인산, 칼륨 비료에만 집중하여 화학 비료 개발에 실패했다.[7] 농부의 밭에서 실험했을 때, 리비히의 비료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23] 이는 리비히의 이론과 실제 농업 현장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후 리비히는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고 질소 비료의 중요성을 받아들였다.[7]

리비히는 자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리비히 고기 추출물 회사'를 설립하여 상업적 이익을 추구했다.[28][29][32][30] 그러나 이 회사의 고기 추출물은 초기 홍보와 달리 영양학적 가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고, 이후 맛과 편의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전략을 변경해야 했다.[32]

또한, 리비히가 개발한 최초의 영아용 조제분유는[35] 실험 과정에서 여러 영아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윤리적 논란을 일으켰다.[36] 프랑스 국립 의학 아카데미에서는 리비히의 조제분유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며 "가짜 우유"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5. 리비히 관련 용어

; 리비히 냉각기

: 증류 및 환류용 냉각기 중 하나로, 보온관으로도 사용된다. 유리로 된 내관과 외통으로 구성되며, 외통과 내관 사이에 냉매를 흘려 내관을 통과하는 기체 등을 냉각한다. 리비히는 이 증기 응축 장치를 1794년에 독일 화학자 크리스티안 에렌프리드 바이겔이 1771년에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프랑스 과학자 P. J. 포아소니에가 1779년에 발견했으며 핀란드 화학자 요한 가돌린이 1791년에 개선한 설계를 개선한 독일 약사 요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고틀링에게 돌렸다.[15]

현대식 리비히 냉각기(왼쪽)와 웨스트 냉각기(오른쪽)


; 리비히-그래엄 냉각기

: 그래엄 냉각기의 별칭으로,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리비히 냉각기의 내관을 나선형으로 개량한 것이다.

; 리비히석 (liebigite)

: 우라늄의 함수 탄산염 광물이다. 조성식은 Ca2(UO2)(CO3)3·11H2O이며, 리비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리비히 적정

: 시안화물 이온을 은 이온과 반응시켜 안정한 착체를 만드는 것을 이용하는 은 적정 정량법이다. 리비히법이라고도 한다.

; 리비히의 칼리구

: 칼리구의 일종이다. 구 안의 수산화 칼륨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그 질량 변화에 따라 시료 중 탄소의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리비히는 1830년에 유기 물질의 탄소, 수소, 산소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했는데, 이것은 연소 후 시료의 탄소 산화 생성물을 포집하기 위한 칼리라파라트라고 불리는 5개의 유리 구체 배열을 포함했다.[12] 칼 에틀링은 칼리라파라트를 제작하기 위한 유리 불기 기술을 완성하고 방문객들에게 시연했다.[7]

; 리비히의 최소율

: "식물의 생장은, 필요로 하는 무기 양분 중 가장 적은 것에 의해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 리비히의 탄수소 정량법

: 유기 화합물의 정량 분석법 중 하나이다. 리비히의 연소 분석 방법은 약학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유기, 농업 및 생물학 화학에 많은 기여를 했다.[7][14]

; 리비히법

:# 비전해질 중의 의 정량법 중 하나로, 수산화 칼륨질산 칼륨을 사용하여 시료 중의 황을 황산 이온으로 만든다.

6. 저서


  • Ueber das Studium der Naturwissenschaften und über den Zustand der Chemie in Preußende, 1840 (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University and State Library Düsseldorf)에서 디지털 버전 제공)[40]
  • Die organische Chemie in ihrer Anwendung auf Agricultur und Physiologiede, 1840 (영어: ''Organic Chemistry in its Application to Agriculture and Physiology'')[40]
  • Chimie organique appliquée à la physiologie animale et à la pathologie프랑스어, 1842 (영어: ''Animal chemistry, or, Organic chemistry in its applications to physiology and pathology'')[40]
  • Familiar letters on chemistry and its relation to commerce, physiology and agriculture영어, 1843[40]
  • Chemische Briefede, 1844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University and State Library Düsseldorf)에서 1865년 디지털 버전 제공)[40]
  • 화학 통신 1·2 (카시와기 하지메 역, 이와나미 문고 간, 1952년, 3·4권은 미간)
  •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의 응용 (요시다 타케히코 역[부분 역], [http://cryo.naro.affrc.go.jp/ 홋카이도 농업시험장] 연구 자료 제30호, 1-152, 1986년)
  • 리비히-로즈 논쟁 관계 자료 (요시다 타케히코 역, [http://cryo.naro.affrc.go.jp/ 홋카이도 농업시험장] 연구 자료 제40호, 1-140, 1989년,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의 응용' 부분 번역 포함)
  • 리비히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의 응용」 (요시다 타케히코 역·해제,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의 응용' 완역, 홋카이도 대학 출판회, 2007년, 409쪽, )


'화학의 농업 및 생리학에의 응용'과 '리비히-로즈 논쟁 관계 자료'는 [http://rms2.agsearch.agropedia.affrc.go.jp/contents/JASI/report/sard/cryo-s.html 홋카이도 농업시험장 연구 자료 (20-60호)]에서 PDF 파일로 열람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Indigo plantations and science in colonial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1-04
[2] NDB Liebig, Justus Freiherr von
[3] 학술지 Obituary Notices of Fellows Deceased https://archive.org/[...] Royal Society of London 2014-11-05
[4] Americana Liebig, Justus, Baron von
[5] 서적 Fertilizer manual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Fertilizer Development Center (IFDC),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2014-11-06
[6] 서적 Justus Liebig, Georg Giebert und der Fleischextrakt http://geb.uni-giess[...] University of Giessen
[7] 서적 Justus von Liebig : the chemical gatekeep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8] 학술지 Blast from the Past https://www.smithson[...] 2002-07
[9] 서적 The last great subsistence crisis in the Western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7
[10] 웹사이트 Justus Liebig (our Eponym) http://www.uni-giess[...] Justus Liebig University 2014-11-05
[11] 학술지 The First Century of Chemical Engineering https://www.scienceh[...] 2018-03-20
[12] 학술지 Ueber einen neuen Apparat zur Analyse organischer Körper, und über die Zusammensetzung einiger organischer Substanzen https://zenodo.org/r[...]
[13] 학술지 Synthetical Experiments and Alkaloid Analogues: Liebig, Hofmann, and the Origins of Organic Synthesis 2014-09
[14] 웹사이트 Organic chemistry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www.rochellef[...] 2014-11-06
[15] 학술지 The Origin of the Liebig Condenser
[16] 웹사이트 Justus Liebig: Life and Work https://bibliotekana[...]
[17] 학술지 Liebig–Wöhler Controversy and the Concept of Isomerism 2008-09
[18] 학술지 Untersuchungen über das Radikal der Benzoesäure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Justus von Liebig and Friedrich Wöhler https://www.scienceh[...] Science History Institute 2018-03-21
[20] 논문 Jacob Moleschott and the conception of science in the 19th century https://studentthese[...] 2010
[21] 학술지 Politics by Other Means: Justus von Liebig and the German Translation of John Stuart Mill's "Logic" https://www.jstor.or[...] 1998
[22] 서적 Chemical research on plant growth Springer 2014-11-07
[23] 간행물 Liebig's System of Manuring https://babel.hathit[...] HathiTrust 1847-07
[24] 서적 1493: Uncovering the New World Columbus Created https://archive.org/[...] Knopf 2011
[25] 학술지 Dirty Business https://www.scienceh[...] 2018-03-20
[26] 학술지 Solving the Mystery of Spontaneous Human Combustion http://www.mcri.org/[...] 2014-11-04
[27] 서적 On Food and Cooking Scribner
[28] 서적 The Quinologist https://books.google[...] s.n. 2014-11-04
[29] 웹사이트 Liebig's in Fray Bentos https://negocios.elp[...] 2018-07-02
[30] 웹사이트 The Liebig chromolithographs, origins of bouillon, Marmite, Oxo and Campbell's soups http://nickyskye.blo[...] 2012-06-25
[31] 서적 The Quinologist https://books.google[...] s.n. 2014-11-04
[32] 학술지 Where's the Beef? https://www.scienceh[...] 2018-03-20
[33] 서적 Scientific American, "Oatmeal" https://books.google[...] Munn & Company 1878
[34] 서적 Encyclopedia of brewing https://books.google[...] Wiley 2014-11-04
[35] 학술지 "They Perished in the Cause of Science": Justus von Liebig's Food for Infants https://academic.oup[...] 2023-07-12
[36] 웹사이트 Family tree of Johanna von Liebig https://gw.geneanet.[...] 2024-03-04
[37] 서적 Terrors of the table the curious history of nutr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12
[38] 웹사이트 What is going to become of ''Chemische Berichte/Recueil'' and ''Liebigs Annalen/Recueil''? https://tuprints.ulb[...] 1997-09-20
[39] 서적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emistry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14-11-12
[40] 학술지 Liebig or How to Popularize Chemistry http://www.hyle.org/[...] 2014-11-17
[41] 학술지 Wundt as chemist? A fresh look at his practice and theory of experimentation
[42] 학술지 The story of Liebig's Annalen der Chemie https://pubs.acs.org[...] 1957-01
[43] 서적 Acolytes of Nature: Defining Natural Science in Germany, 1770-185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6-04
[44] 서적 Acolytes of Nature: Defining Natural Science in Germany, 1770-185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6-04
[45] 웹사이트 J. von Liebig (1803–1873)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6
[46] 학술지 Adjudication of the Medals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year 1840 by the President and Council https://books.google[...] 2014-11-06
[47] 웹사이트 ''Liebigia'' Endl. Plants of the World Online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05-16
[48] 웹사이트 Justus von Liebig https://web.archive.[...] 2014-11-06
[49] 웹사이트 Civilian or Peace Class Order pour le Merite for Arts and Science https://web.archive.[...] Gretchen Winkler and Kurt M. von Tiedemann 2014-11-06
[5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0
[51] 학술지 Announcements by the Council: Albert Medal https://books.google[...] 2014-11-06
[52] 웹사이트 P-183 http://banknote.ws/C[...]
[53] 간행물 Germany No. 695 Scott catalogue
[54] 문서 Label on frame
[5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medallists : coin-, gem-, and seal-engravers, mint-masters, &c., ancient and modern, with references to their works : B.C. 500-A.D. 1900 https://archive.org/[...] Spink and Son 1904
[56] 뉴스 Honors to Californian http://cdnc.ucr.edu/[...] 2014-11-12
[57] 서적 Agricultural investigations at Rothamsted, England, during a period of fifty years: Six lectures deliver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Lawes agricultural trust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4-11-12
[58] 서적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by the late Burke A. Hinsdale, with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regents and members of the university Senate from 1837 to 1906 http://umhistory.dc.[...] Published by the University 2014-11-12
[59] 뉴스 Notes https://books.google[...] 2014-11-12
[60] 서적 Schmidt-Theyer https://books.google[...] K.G. Saur 2014-11-12
[61] 학술지 Scientific Notes and News https://books.google[...] 2014-11-12
[62] 뉴스 Medal for Chemist https://www.newspape[...] Dighton, Kansas 2014-11-11
[63] 웹사이트 Liebig commemorative medal https://en.gdch.de/g[...] 2024-06-17
[64] 웹사이트 80 years dedicated to enhancing soil fertility and crop productivity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cientific Centre of Fertilizers Centre International des Engrais Chimiques (CIEC) 2014-11-11
[65] 웹사이트 Liebig; Justus (1803 - 1873) 2011-12-11
[66] 서적 화학의 역사 전파과학사 1993
[67] 백과사전 리비히 [Justus von Liebig] 토양사전 2000-10-15
[68] 백과사전 리비히 [Justus Freiherr von Lie´big] https://terms.naver.[...] 인명사전 2002-01-10
[69] 백과사전 유스투스 폰 리비히 [Justus Freiherr von Liebig]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70] 서적 왜 하필이면 세균이었을까 몸과마음 2004
[71] 웹사이트 리비히 [Justus von Liebig] https://terms.naver.[...] 류순호 2000-10-15
[72] 웹사이트 리비히 [Liebig, Justus, Freiherr von] https://terms.naver.[...] 세화 편집부 2001-05-20
[73] 웹사이트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https://terms.naver.[...] pmg 지식엔진연구소
[74] 웹사이트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https://terms.naver.[...] 권오길 2012-10-25
[75] 웹사이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Alexander von Humboldt] 두산백과
[76] 서적 100 디스커버리 생각의날개 2011
[77] 웹사이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Alexander von Humboldt]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78] 서적 화학의 역사 전파과학사 1993
[79] 문서 화학비료 생산
[8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vod.snu.ac.kr[...] 2013-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